
[ 한국미디어뉴스 이원영 기자 ] 춘천시 청년친화도시 추진단이 ‘2025년 권역별 청년정책 아이디어 공모전’에 제출한 과제 2건이 전국 본선에 올랐다.
추진단은 최근 지방시대위원회가 주관하는 ‘2025년 권역별 청년정책 아이디어 공모전’에 ‘강원 청년 정착 로드맵사업’과 ‘농촌 작업실 모델’ 등 2건의 과제를 제출해 최근 1차 서면심사를 통과, 전국 12개 팀을 선정하는 본선에 진출했다.
본선은 내달 5일 세종 지방시대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진행되는 가운데 본선에 오른 전국 12개 팀은 전원 수상 대상이다.
시는 이번 공모에 도시와 농촌을 아우르는 ‘투트랙 전략’으로 두 가지 공모를 제출했다. ‘강원 청년 정착 로드맵 사업’은 회복-참여-정착의 3단계 구조의 사업으로 유출·정착 위험군 청년을 타겟으로 삼아 심리적 회복, 사회 참여, 정착 유도의 과정을 거쳐 지방 정착률을 높이려는 사업이다.
‘농촌 작업실 모델’은 농업·농촌 분야에서 추진할 수 있는 청년정책 사업으로 어르신과 함께하는 멘토링, 농촌 화폐 제도, 재능 봉사 등 지역 주민과의 관계망을 형성하고 청년들이 농촌에 정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사업이다.
이번 공모 도전은 춘천 청년이 정책을 ‘생각’에 그치지 않고 직접 설계해 제도권에 제안하자는 자발적 논의에서 추진된 점이 눈길을 끈다. 제안 정책들은 지방시대위원회에서 실행가능성 검토 등을 거친다.
추진단의 전영호 강원온(ON)팀 팀장은 “이번 본선 동시 진출은 우리 춘천 청년들이 함께 만든 결과”라며 “팀원들과 발표 준비를 차근차근 잘 챙겨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내겠다. 시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춘천시 청년친화도시 추진단은 지난 9월 출범해 직장인·창업가·대학생 등 약 30여 명의 춘천 청년이 참여해 청년정책 의견 수렴, 정책 모니터링, 청년친화도시 시민 홍보 등의 활동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청년친화도시’는 국무조정실이 주관해 청년의 정주·일자리·참여·생활여건을 종합적으로 개선하는 지역을 지정·지원하는 제도로 선정 시 예산과 컨설팅 등 행정적 지원이 제공된다. 최종 선정 발표는 내달 중으로 예정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