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미디어뉴스 김풍옥 기자 ] 충북도의 대표 생활밀착형 고용정책인 ‘충북형 도시근로자 지원사업’이 2025년 11월 현재 연인원 30만 명을 돌파했다.
이는 2024년(연 10만 5천 명) 대비 286%, 2022년 시범사업(연 804명) 대비 무려 373배 증가한 수치다.
‘틈새 일자리’에서 ‘생활기반형 고용모델’로 성장
도시근로자 지원사업은 구인난을 겪는 중소기업과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유휴인력을 단시간 근로로 매칭하는 전국 최초이자 유일한 틈새형 일자리 모델로, 이제는 충북을 대표하는 지속 가능 고용 플랫폼으로 자리잡았다.
충북도는 2022년 진천‧음성 지역 시범사업 이후 2023년 전 시군 확대, 2024년 사회복지·소상공인 업종 확장에 이어 2025년에는 전자서명·행정정보 공동이용 도입 등을 통해 사업 내실화를 추진했다.
현장 중심의 개선, ‘참여자 불편 제로화’
도는 근로자 참여 불편을 줄이기 위해 올해 행정정보공동이용 승인으로 구비서류를 대폭 간소화하고, 전자서명제 도입을 통해 온라인 신청률을 80%까지 끌어올렸다.
또한 참여자의 경력단절 예방을 위해 ‘근속 3개월 인센티브 제도’를 운영하고, 시군-수행기관 간 실적 공유체계를 정례화하여 행정 효율성과 현장 대응력을 동시에 강화했다.
지역 고용지표에도 긍정 효과
충북의 고용률은 ‘2022년 71% → 2025년 74%’로 상승했고, 비경제활동인구*는 3년간 23,000명 감소, 제조업 빈 일자리율은 1.06%로 절반 이하 감소했다.
이러한 성과는 2024년 정부혁신 국무총리상 수상과 충북도정혁신 우수상 수상 그리고 2025년도 고용노동부 대통령상 수상 등으로 이어졌다.
상생과 안정의 지역고용모델로 도약
충북도는 2025년을 기점으로 도시근로자 사업을 ‘충북형 지역활력형 상생일자리 모델’로 발전시키며 도시근로자의 고용안정과 근로환경 개선을 중심에 두고 안전‧보건교육 강화와 근무 여건 개선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지역 고용생태계 조성에 나서고 있다.
김두환 충북도 경제통상국장은 “충북형 도시근로자 지원사업은 짧은 기간에 눈부신 성장을 이룬 전국 유일의 생활형 고용모델”이라면서, “앞으로도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따뜻한 일자리 정책을 꾸준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