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미디어뉴스 이종철 기자 ] 브라질과 이스라엘, 인도네시아에서 각국의 무형유산을 보호하고 전승하는 데 앞장서 온 단체들이 인류가 함께 지키고 보존해야 할 ‘2025 전주세계무형유산대상’ 수상자로 결정됐다.
전주시는 24일 한국전통문화전당 공연장에서 윤동욱 전주부시장과 남관우 전주시의회 의장, 윤순호 국가유산청 무형유산국장 등 내외빈과 국내외 무형유산 전문가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 전주세계무형유산대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윤동욱 부시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남관우 의장의 환영사, 윤순호 국장과 박규리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사무총장 직무대행의 축사, 시상식, 아마레스월 갈라 심사위원장의 심사평, 축하공연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올해 전주세계무형유산대상은 국제 공모에 응모한 42개국 90개 팀 중 심사를 거쳐 △브라질의 이에페(Iepé) △이스라엘의 케셋 엔지오(Keshet NGO) △인도네시아의 와양 사삭 인형극 학교(Wayang Sasak Puppetry School)가 최종 수상자로 선정됐다.
먼저 브라질의 ‘이에페’(Iepé)는 원주민 공동체의 문화와 정치, 지속가능성 역량 지원, 토지 관리, 환경 모니터링, 기후변화 대응 등에서 뛰어난 성과를 인정받아 수상자로 결정됐다.
또한 이스라엘의 ‘케셋 엔지오’(Keshet NGO)는 전통 농업기술 및 약용식물 재배지식 기록·보존, 지속 가능한 문화 관광 개발 등 지역 사회, 문화·예술, 환경 보존, 베두인 공동체 지원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한 점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마지막 수상자인 인도네시아의 ‘와양 사삭 인형극 학교’(Wayang Sasak Puppetry School)는 비정규 인형극 교육 및 사삭 인형극 공연 활동 전개와 상호작용 퍼포먼스 도입으로 실시간 관객 참여를 유도하는 등 전통 인형극을 현대적으로 계승하며, 교육·환경·성평등·지역 발전을 아우르는 문화 거점 역할을 수행해온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와 관련 전주세계무형유산대상은 전주가 세계 각국에서 무형유산을 보호·발전시키는 데 앞장서 온 개인·단체를 시상하기 위해 제정한 세계 유일의 국제무형유산상으로, 올해로 7회를 맞았다. 수상 단체에는 전북특별자치도 무형유산 옻칠장 이의식 보유자가 제작한 상패와 함께 각각 미화 1만 달러, 총 3만 달러의 상금이 수여됐다.
마리나 다 실바 칸(Marina de Silva Kahn) 브라질 이에페 대표는 “전주시가 보여준 무형유산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과 성과에 대해 깊은 감사를 드리며, 앞으로도 무형유산의 가치가 세계 속에서 더욱 빛날 수 있도록 함께 협력해 나가겠다”면서 “전주시가 전통 지식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는 세계 무형유산 종사자와 앞으로도 함께 해 주길 바란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윤동욱 전주부시장은 “가장 한국적인 도시, 후백제와 조선을 잇는 천년고도 전주시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51개의 무형유산을 보유하고 있다”면서 “국제무형유산대상이 전주와 세계의 물리적 거리를 초월한 소통·가교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축하공연에서는 수상팀 인도네시아의 와양 사삭 인형극 학교의 인형극 공연과 전주 올림픽 유치를 기원하는 우석대 태권도 시범단 공연 등 다채로운 공연이 펼쳐져 풍성한 볼거리를 제공했다. 시상식은 유튜브 채널 CICSinKOREA통해 다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