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미디어뉴스 이원희 기자 ] 인천시청 본관 앞에서 시민단체들은 인천 송도 R2 개발 사업이 2023년 등장한 업체와 관련된 의혹에 대해 투명성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17일 개최했다.
시민사회는 해당 사업의 투명성을 요구하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인천시는 지난 7월 2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 G타워에서 P 사와 N 사가 제안한 내용을 심의했으나, N 사는 필수조건인 외국인투자 촉진법에서 정한 외국인투자비율(FDI 포함)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의혹을 제기했다.
이들은 송도 R2 개발이 단순한 주거단지를 넘어 인천의 미래를 책임질 중요한 공간이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들은 재공모 논란에 대한 진실을 요구하며, 인천시가 특정 기업의 이익을 위한 개발로 변질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특히, N 사는 외국인투자비율이라는 기본 심의조건을 이행하지 못한 상황에서 심의에 상정된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김선홍 인천 행·의정 감시네트워크 상임대표는 “반복되는 특혜와 유착 의혹은 반드시 밝혀져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례적인 이중 심의에 대한 해명을 촉구했다.
김 상임대표는 인천시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N 기업과 유착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인천시와 인천경제청이 책임 있는 해명을 내놔야 한다고 강조하며, 유정복 인천시장 비서실에 진정서를 제출하고, 인천시는 의혹과 불신해소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을 촉구했다.
김 상임대표는 앞으로도 시청과 경제청 앞에서 집회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단체들은 “인천시의 미래가 특정 기업의 사익 창출이 아닌 시민 전체의 행복과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행·의정 감시네트워크 중앙회, 기업윤리경영을 위한 시민단체협의회 등과 함께 투명한 행정과 개발을 강력히 촉구하고 있다.
“우리는 인천시민들을 위한 공정하고 투명한 행정을 요구한다”면서 송도 R2 개발 사업의 향후 진행 상황이 주목받고 있으며, 시민단체의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