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미디어뉴스 고훈 기자 ] 울산 북구 송정동 제2고헌초등학교 예정부지에 울산특수교육원설립과 관련하여 그 역할과 필요성, 설립 위치 등에도 주민의 의견이 반영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같은 주장은 정치락 울산광역시의회 운영위원장이 12일 오전 10시경 시의회 4층 다목적회의실에서 개최한 특수교육원 설립 관련 간담회에 참석한 지역주민들로부터 집중적으로 제기됐다.
울산광역시교육청이 오는 2027년 하반기 개원을 목표로 하고 있는 울산특수교육원은 장애를 가진 학생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특수교육을 실시하고,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비장애인 학생과의 통합교육 등을 맡을 교육기관이다. 일부 주민들은 특수교육원을 기피시설로 여기며 설립에 반대하고 있고, 이 자리에 들어서기로 했던 고헌제2초교 개교가 무산된 데 대해서도 불만이 적지 않은 상황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설립예정지 인근 주민들과 송정동 주민자치회 회원, 울산교육청 및 북구청 관계자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주민들은 “특수교육원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듣지 못했다.”며 “정보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교육원이 들어서는 것을 반길 수만은 없다.”고 말했다. 또“과밀학급 해소를 위해 기대했던 고헌초교가 예정부지에 설립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대안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울산교육청 관계자들은 “특수교육원은 장애인 학생만을 대상으로 하는 시설이 아니다.”며 “장애·비장애 학생간 통합교육은 물론, 지역사회와 연계한 진로교육 및 울산형 맞춤 특수교육을 실시하는 등 지역 주민과 함께 하는 주민친화적 교육기관으로 만들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교육청은 이에 따라 교육원에 주민이 함께 이용하는 도서관이나 수영장을 설치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정치락 운영위원장은 “오늘 간담회는 특수교육원 설립에 따른 송정동 주민의 우려를 전달하고, 교육원의 역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듣는 자리였다.”며 “설립과정을 꼼꼼히 살피고, 주민 의견을 잘 수렴해서 특수교육원의 향후 역할과 운영 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의견을 내놓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