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미디어뉴스 김서안 기자 ] 충남연구원은 중앙부처, 기업, 지자체, 연구기관, 학계 등 총 31개 기관이 참여하는 차세대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을 위한 ‘NUMA(Next Urban Mobility Alliance)’에 합류했다고 3일 밝혔다.
전국시도연구원 중 유일하게 참여하게 된 충남연구원은 지난 1일 서울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NUMA 출범식’에 참석했다.
NUMA는 기술 실증과 정책 연계를 동시에 추진하는 다자간 개방형 협력 플랫폼으로,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실질적인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스마트시티 실현을 목표로 한다.
향후 NUMA는 △지역 교통의 인공지능(AI) 전환을 통한 교통문제 해결 △미래 모빌리티 디바이스를 활용한 자율주행 실현 △인공지능(AI) 모빌리티 확산을 통한 스마트시티 전환 등을 위해 각계 전문성에 기반한 단계별 협업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번 협약을 주도한 충남연구원 김원철 연구위원은 “그동안 충남연구원은 지역 내 취약지역의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수단(DRT) 활용에 대한 정책연구를 꾸준히 수행해왔다”며 “충남은 이번 NUMA의 단계적 로드맵에 대응한 테스트필드 역할, 사회 공헌 사업 선도 모델 제시, 더 나아가 AI와 자율주행에 기반한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전환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충남 시·군 중 이미 DRT를 서비스하고 있는 서산시와 아산시가 이번 NUMA에 참여하게 된 만큼, 충남지역 내 사회적·신체적 교통 약자의 이동 등 실질적인 사회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전희경 원장은 “사람과 사람, 지역과 지역을 잇는 편리한 교통수단은 도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필수 서비스”라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교통 격차 없이 모두가 자유롭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사회가 만들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주관한 이번 출범식에는 국토교통부를 비롯한 중앙정부와 전국 지자체, 주요 기업, 학계·연구기관 등 총 31개 기관이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