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미디어뉴스 이종철 기자 ] “광주 일경험드림은 단순히 ‘일을 경험하는 프로그램’이 아니었다. 나에게는 삶의 방향을 다시 설정한 전환점이자,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새로운 출발점이었다. 그 어떤 스펙 준비보다도 실질적이고 유익한 시간이었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 (17기 청년 일경험드림 참여자 A씨)
“‘경력 있는 신입’이 될 수 있는 가장 실질적인 기회를 주었고 제 가능성을 확인시켜 준 인생의 전환점이었다. 소중한 경험을 발판 삼아 앞으로도 지역 사회와 함께 성장해 나갈 것이며 또 다른 청년들이 용기를 내어 새로운 도전을 시작할 수 있도록 이야기를 전하고 싶다.” (17기 청년 일경험드림 참여자 B씨)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29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2025년 상반기 광주청년 일경험드림 사업’에 참여한 청년 370명과 함께 성과공유회를 열었다.
광주청년 일경험드림사업은 경력직 채용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구직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지역 청년에게 직무 적성에 맞는 일경험과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고, 급여를 지원하는 광주시 대표 청년일자리 사업이다. 2017년 처음 시작해 올해 상반기까지 7500여명의 청년이 지역 내 다양한 사업장에서 직무역량을 쌓았다.
이날 성과공유회에서는 17기 드림청년들이 지난 5개월 동안 쌓은 다양한 직무경험과 성취를 공유했다.
17기 드림청년 우수활동상을 수상한 정해앙·서지현·장다형·최준영·김운영·이승민 씨 등 6명이 자신의 현장실무 경험을 발표했다. 이들은 교육 및 네트워킹 활동 참여, 활동보고서, 드림터 평가점수 등을 종합한 결과 우수활동 드림청년으로 선정됐다.
또 디자인·영상·수기 등 참여후기 공모전에는 디자인 부문의 김정륜 씨가 대상을 받았다.
참여 청년들에게는 직무를 성실히 이행했음을 증명하는 ‘참여증명서’를 수여했다.
이날 행사에 앞서 ‘월간 마음건강’ 편집장인 장재열씨가 ‘직무스트레스와 번아웃 예방’을 주제로 강연했다. 약 10년간 청년 4만 여명의 고민을 무료로 상담한 경험담을 토대로 청년들의 정서적 회복과 자기이해를 돕는 시간을 가졌으며, 청년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김기숙 교육청년국장은 “최근 경력직 중심의 채용 상황에서 광주청년 일경험드림 사업이 큰 호응을 얻고 있다”며 “앞으로도 일경험이 청년 구직에 도움이 되는 마중물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