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미디어뉴스 이원영 기자 ] 양산시는 여름철 고온과 일조시간 증가 등 기후변화로 인한 조류발생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수질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조류 유입 차단 및 정수공정 운영관리 등 다각적인 수질 대응체계를 마련하여 철저한 수질관리 체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특히 2023년부터 조류독소(마이크로시스틴) 분석 항목을 6종으로 확대하고, 조류경보제보다 강화된 감시체계를 도입하여 조류로 인한 수질 변화를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수질검사 결과는 양산시 상하수도사업소 홈페이지를 통해 시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써 수돗물에 대한 신뢰성 제고에 힘쓰고 있다.
양산시가 운영하는 3개 정수장(신도시, 범어, 웅상)은 모두 고도정수처리 시설을 갖추고 있어 조류부산물질과 미량 유해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취수 및 정수처리 공정에서 조류 유입 차단과 정수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조류차단막 ▲살수시설 ▲이산화탄소 주입장치 ▲활성탄 교체 등 조류경보제 대한 대응체계를 완비했다.
또 조류경보제 발령 체계에 따라, 자체 관리 기준에 따른 ▲분말활성탄 주입 ▲중염소 주입 전환 ▲단계별 오존 주입 등 강화된 정수처리 대책을 탄력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안전한 수돗물 공급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정정아 정수과장은 “수질 변화에 따른 감시체계 강화뿐 아니라, 조류경보제 발령 단계에 따른 체계적인 수질관리를 통해 시민들이 안전하고 깨끗한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