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미디어뉴스 이종철 기자 ] 여수시의회 송하진 의원(무소속, 미평·만덕·삼일·묘도)은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전남 여수시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한 데 대해 “환영의 뜻을 밝힌다”며 “이번 조치를 지역경제 대전환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산자부는 전날 산업위기 대응 심의위원회를 열고 여수 석유화학산업 위기 상황을 고려해 1일부터 오는 2027년 4월 30일까지 2년간 여수시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송 의원은 “이번 지정은 여수 석유화학산업의 총체적 위기 상황을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이라며 “지역경제의 자생력을 회복할 수 있는 전환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송 의원은 지난 2월 열린 제243회 임시회 5분 발언을 통해 석유화학산업 위기의 심각성을 지적하고, 고부가가치 산업 전환 및 신성장 산업 육성을 촉구한 바 있다.
송 의원은 당시 발언에서 “석유화학산업이라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에 의존해 새로운 먹거리 발굴을 게을리한 결과 지금의 위기가 찾아왔다”며 “회복 불능 수준에 이른 석유화학산업에 대신할 산업 구조 전환과 전략적 투자가 시급하다”고 주창했다.
송 의원은 LG화학, 롯데케미칼, 금호석유화학, 한화솔루션 등 여수산단 주요 대기업들의 대규모 손실 사례를 언급하며 “작년 기준 이들 기업의 누적 영업손실이 5,000억 원을 넘는 등 지역경제가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그는 “여수는 과거 ‘삼려통합’의 대통합 역사에도 불구하고 지역 내 정치적 갈등과 책임 회피로 인해 미래산업 기반을 마련하지 못했다”며 “정치권이 밥그릇 싸움이 아닌 미래 먹거리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송 의원은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에 따라 제공되는 긴급경영안정자금, 지방투자촉진보조금 확대 등 정부 지원이 실효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단순한 재정지원에 머무르지 않고, 여수만의 맞춤형 산업 육성과 규제 완화, 투자유치 전략이 병행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지식산업, 관광, 레저, 마이스, 실버산업 등 지속가능한 미래 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플랜 수립이 필요하다”며 “이를 뒷받침할 행정조직 개편과 규제 개혁도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송 의원은 청년 일자리 창출과 인구 유출 방지를 위해 지역 중소기업 육성과 직업 교육, 인재 양성 프로그램 확대의 필요성도 역설했다.
아울러 소상공인 경영안정자금 지원, 지역화폐 확대, 공공임대주택 공급 등 민생 대책과 근로자 정주 여건 개선도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송 의원은 “이번 지정이 여수 경제의 대전환’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며 “전시성 사업은 과감히 정리하고 민생 회복과 지역 재도약에 총력을 기울여 줄 것을 당부한다”며 시정부의 분발을 촉구했다.